전통 시장 영어 가격 흥정·시식·포장 필수문장
한눈에 보기 — 본 글은 전통 시장에서 입장·가격·흥정 → 시식·품질·원산지 → 결제·포장·교환 순서로 바로 쓸 수 있는 표현과 실전 팁을 정리합니다.
최종 업데이트:

입장·가격·흥정
시장에서는 먼저 인사를 건넨 뒤, 목적·수량·예산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대화가 빠르게 정리됩니다. 예) “사과 두 봉지 찾습니다. 예산은 15달러입니다.” 단위(개/봉/근/kg)와 묶음가를 먼저 확인하고, 흥정은 미소 → 근거 제시 → 대안 제안 순서가 자연스럽습니다. “두 봉지 사면 할인 가능할까요?”처럼 조건을 붙이면 성공 확률이 높았습니다.
가격표가 없으면 비교 기준부터 만드는 편이 안전했습니다. 동일 품목의 크기·상태(상처/반점)·당도 설명을 듣고 “혼합해서 담아도 되겠습니까?”라고 물어보면 선택지가 넓어집니다. 저는 저울이 손님 쪽을 향한 집이 설명도 투명해서, 비슷한 가격이면 그 집을 고르곤 했습니다.
Good morning—how much is this per bag? / 안녕하세요. 이거 한 봉지에 얼마입니까?
Do you sell by weight or by piece? / 중량 기준입니까, 개당 판매입니까?
Could you do a better price if I take two? / 두 개 사면 가격을 더 조정해 주실 수 있습니까?
What’s your best price today? / 오늘 최저가는 얼마입니까?
I’m on a budget—any bundle deal? / 예산이 정해져 있습니다. 묶음 할인이 있습니까?
Could you pick the firmer ones, please? / 단단한 것 위주로 골라 주시겠습니까?
흥정이 길어지면 대체 옵션을 스스로 제안했습니다. “이건 한 봉지, 저건 반 봉지로 섞으면 어떻겠습니까?”라고요. 대개는 웃으며 맞춰 주셨습니다.
시식·품질·원산지
식품은 시식 → 신선도 확인 → 보관법 확인 순서가 안정적이었습니다. 시식 요청은 짧고 정중하게, “작게 한 조각만 가능합니까?”가 무난합니다. 과일·채소는 향·단단함·색을 보고, 건어물·향신료는 소량만 맛을 본 뒤 소금기와 향의 강도를 확인하면 됩니다. 비식품(그릇·수공예품)은 마감(찍힘/번짐)과 재질을 확인한 뒤 사용 용도를 말하면 추천이 정확했습니다.
원산지·제조일·성분표는 꼭 질문했습니다. “오늘 들어온 물건입니까?”와 “실온/냉장 보관 중 어느 쪽이 좋습니까?”만으로도 실수가 크게 줄었습니다. 건어물은 소량만 맛을 보고 물로 입안을 헹군 다음 다시 비교하니, 짠맛 차이가 확실히 느껴졌습니다.
May I try a small sample? / 시식 조금만 가능합니까?
When was this harvested/made? / 수확(제조)이 언제였습니까?
Is there a sweeter/less salty option? / 더 달거나 덜 짠 옵션이 있습니까?
How should I store it—room temp or chilled? / 보관은 상온입니까, 냉장입니까?
Is this locally sourced? / 이 제품은 현지 생산품입니까?
Are these handmade? / 수공예 제품입니까?
결제·포장·교환
결제 단계에서는 결제 수단·포장 방식·영수증을 먼저 정리했습니다. 현금/카드/모바일 결제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, 잘 무르는 품목은 분리 포장을 요청하면 안전했습니다. 유통기한이 짧은 식품은 “오늘 드실 거예요?”라는 확인이 종종 있어, “절반은 오늘, 절반은 내일 먹습니다”라고 사용 계획을 말하면 보관 안내가 더 정확했습니다.
교환·환불은 시장마다 정책이 다릅니다. 대개는 당일·당점 교환만 가능한 경우가 많아 “문제가 있으면 오늘 중에 다시 오겠습니다”라고 재확인했습니다. 국물 있는 반찬을 산 날은 비닐 이중 포장과 용기 테이핑을 함께 부탁했더니, 가방이 젖는 일이 확 줄었습니다.
Do you take card or cash only? / 카드 결제가 가능합니까, 현금만 받습니까?
Could you pack the soft ones separately? / 잘 무르는 것은 따로 포장해 주시겠습니까?
Can I get an e-receipt or a simple receipt? / 전자 영수증 또는 간이 영수증을 받을 수 있습니까?
If there’s an issue today, may I exchange it here? / 문제가 있으면 오늘 중 이곳에서 교환이 가능합니까?
Could you keep the sauce apart? / 소스는 따로 포장해 주시겠습니까?
Do you have smaller bills for change? / 거스름돈을 작은 단위로 주실 수 있습니까?
무게감 있는 품목을 아래, 가벼운 품목을 위에 담아 달라고 부탁하면 형태가 잘 유지되었습니다. 재사용 장바구니를 챙겨 두면 동선이 훨씬 편했습니다.
- 목적·수량·예산 한 문장으로 시작
- 단위(개/봉/근/kg)·묶음가 먼저 확인
- 시식 → 신선도 → 보관법 순으로 질문
- 결제 수단·분리 포장·영수증 요청
- 교환 가능 시간/장소 재확인
상황 | 영어 표현 | 한국어 의미(습니다체) |
---|---|---|
가격 묻기 | How much is this per bag? | 이거 한 봉지에 얼마입니까? |
단위 확인 | Do you sell by weight or by piece? | 중량 기준입니까, 개당 판매입니까? |
묶음 흥정 | Could you do a better price if I take two? | 두 개 사면 가격 조정이 가능합니까? |
시식 요청 | May I try a small sample? | 시식 조금만 가능합니까? |
신선도 | When was this harvested/made? | 수확(제조)이 언제였습니까? |
보관법 | How should I store it—room temp or chilled? | 보관은 상온입니까, 냉장입니까? |
결제 수단 | Do you take card or cash only? | 카드 결제가 가능합니까, 현금만 받습니까? |
분리 포장 | Could you pack the soft ones separately? | 잘 무르는 것은 따로 포장해 주시겠습니까? |
영수증 | Can I get an e-receipt or a simple receipt? | 전자 또는 간이 영수증을 받을 수 있습니까? |
당일 교환 | If there’s an issue today, may I exchange it here? | 문제가 있으면 오늘 중 이곳에서 교환이 가능합니까? |
FAQ
- 가격표가 없을 때 합리적으로 흥정하려면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까?
- 시식 요청이 어려운 품목은 어떤 방식으로 품질을 확인하면 좋습니까?
- 비식품(그릇·수공예품) 구매 시 마감과 내구성은 어떻게 점검합니까?
- 교환이 어려운 품목은 보통 무엇이며, 대안은 무엇입니까?
관련 글

생활 영어 표현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합니다. 수정이 필요하면 이메일로 알려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.
댓글
댓글 쓰기